Google이 직접 밝힌 구글 SEO 2025 핵심 변화, SCL-DD Day2 색인(indexing) 완전 분석 (2/3) – 서문경 대표 현장 총정리

최종 수정일: 2025년 07월 25일

안녕하세요 서문경입니다. 태국 방콕에서 진행중인 Google Search Central Live Deep Dive APAC 2025 Day2 현장 정보를 정리했습니다. 어제보다 더욱 기술적이고 실무적인 내용입니다.

Google Search Central Live Deep Dive APAC 2025 행사 참석중인 구글 전문 광고대행사 아이엔마케팅 서문경 대표
Google Search Central Live Deep Dive APAC 2025 행사 참석중인 구글 전문 광고대행사 아이엔마케팅 서문경 대표

어제 Day1에서 확인한 “AI 콘텐츠 품질 중심” 접근법에 이어, 오늘은 색인 생성을 핵심으로 자세히 안내해줬습니다. 아무래도 Deep Dive다 보니 기술적인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테크니컬 SEO 실무를 하시는 분들은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2025년 Google SEO의 기술적 구현부터 실무 적용까지 가장 정확하고 최신인 정보를 습득하실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서문경 대표 요약 Day2 핵심 인사이트

Gary Illyes가 공개한 인덱싱 시그널 O/X 리스트

Indexing signal or not 퀴즈 진행 중인 Gary님

Day2 내용 중 Google Technical SEO를 진행하시는 마케터분들이 궁금하실만한 내용을 가장 먼저 공유드립니다. 주제는 Indexing signal or not?입니다. 아래 목록은 Gary님이 제미나이에게 질문해 선정했다고 말했습니다. (Gary가 자주 언급되는데 컨퍼런스의 중심이 완전 Gary였습니다.) 아래 목록은 구글 SEO 영역 상위 노출이 아닌 “인덱싱(색인) 시그널”인 점을 리마인드 드립니다. 

인덱싱 시그널 O – 실제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 Country: 국가별 인덱싱 우선순위
  • Language: 언어별 콘텐츠 분류
  • HTTPS / Secure Site: SSL이죠
  • Core Web Vitals: 사용자 경험 지표 (페이지 스피드 도구 및 서치콘솔에서 확인 가능)
  • Dofollow Links: 링크 신호 전달
  • Hreflang Tags: (세션 슬라이드 이미지는 X 표시지만 Gary님이 O라고 정정)
  • Content Recency & Freshness: 콘텐츠 최신성 
  • Spam Policies Violations: 스팸 정책 위반 감지

인덱싱 시그널 X – 인덱싱에 직접 영향 없는 요소들

  • Domain Age & History: DA 지수죠. (도메인 나이) 
  • XML Sitemap: 사이트맵은 발견 도구일 뿐
  • Crawlability: 크롤링 가능성과 인덱싱은 별개
  • Link Velocity: 링크 증가 속도 무관
  • Logical Internal Linking: 내부링크 구조
  • Readability: 가독성 점수
  • Topical Authority: 주제별 권위도
  • Content Depth & Comprehensiveness: 콘텐츠 깊이/포괄성
  • Matching Search Intent: 검색 의도 일치도
  • Structured Data: 구조화 데이터 활용
  • Keyword in H1 Tag: H1 제목 태그 최적화
  • E-E-A-T: 인덱싱 시그널 아님, 랭킹 시그널임

현장에서 Gary님이 참석자들에게 하나하나 질문 하면서 O/X 게임 형식으로 재밌는 분위기 속에서 진행됐는데요. 참석자분들이 SEO 영역 상위노출, 다른 시그널과 많이 헷갈려했습니다. 그래서 이글 을 읽는 분들도 헷갈리실 수 있어 “색인 시그널”인점 리마인드립니다. (일반적으로 광고주분들이 생각 주시는 SEO(보통 구글 SEO 영역 상위노출) 전략과는 별개로 “색인” 시그널 OX인점 재차 강조드립니다!)

또 다시 한번 강하게 리마인드 드릴 사항으로 구글 SEO는 크롤링(Crawling) → 색인(Indexing) → 노출(Serving) 이렇게 3단계 순서가 명확히 있습니다. SEO 개괄적인 내용은 저희 Google SEO 최적화 가이드 문서를 참고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기타 인사이트

  • robots 메타태그는 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을 때만 작동한다 (Gary)
  • JavaScript로 메타태그 삽입이 가능하지만 렌더링 시간이 더 걸린다 (Gary님이 Don’t Use JavaScript라고 함)
  • Google은 약 10,000픽셀 높이까지만 렌더링한다 (Swit Tei 공식 확인)
  • CNN 홈페이지는 5초에 한 번 인덱싱된다 (Gary님이 참석자 한 분의 질문을 받고 예시로 언급했는데, 뉴스 사이트를 운영하시는 웹마스터분들이나 광고주분들 참고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하루 140억 회 검색이 발생한다 (Daniel Waisberg, Search Console engineering team 팀, 이 내용은 다른 구글팀에서 주최하는 행사들에도 자주 나옴)
  • 하루 400억 개 스팸 페이지가 새로 발행된다 (Gary가 완전 극혐하듯이 말했습니다. 이 정보는 완전 새로웠습니다.)

여태까지 Google Technical SEO를 진행하시는 마케터분들께서 궁금해하실만한 사항들을 요약드렸습니다.

이제 구글 검색 센터 라이브 딥다이브 APAC 2025 컨퍼런스 소식을 더 자세히 전달드리겠습니다. Search Central Live Deep Dive APAC 2025 Day2를 참석하고 호텔로 돌아와 여러분께 생생한 현장 소식을 전해드리고 있습니다. Day1 콘텐츠는 이 링크에서 확인 부탁드립니다. 

Day2는 “색인(Indexing)“을 주제로 HTML 파싱부터 JavaScript 렌더링, 그리고 실제 인덱싱 프로세스까지 Google의 내부 작동 원리를 가장 깊이 있게 들여다볼 수 있었습니다. 특히 Gary Illyes가 Gemini에게 직접 질문해서 만든 “인덱싱 시그널 O/X 리스트”는 우리나라 마케터분들께 너무 중요하고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이 들어 이 글 최상단에 작성했습니다.

Day1은 종료 후 새벽 5시까지 작성했는데 Day2는 좀 익숙해져서 새벽 1시전에 마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행사간 제가 현장에서 듣고 메모한 내용의 신뢰도를 높이기위해, 컨퍼런스 PT 일부 촬영본과 비교해 신뢰도를 높이는데 시간이 좀 걸리네요. + 지금 Day3인데 또 최종의 최종의 최종 수정중입니다.) 

행사 공식 정보 및 제약사항 확인

Day1과 동일하게 Google 공식 홈페이지의 규정을 준수했습니다. 이번 행사는 Google이 최초로 개최한 “Deep Dive” 형식의 3일간 심화 과정으로, 기존 Search Central Live보다 정말 깊은 기술적인 이야기들이 오갔습니다. 개발자분들께서 참석주시면 좋아하실 것 같은 행사입니다.

구글 검색 센터 라이브 딥다이브 Day2 현장 분위기

한층 높아진 기술적 난이도

어제 크롤링 기초를 다진 참석자들이 오늘은 한층 더 심화된 내용에 집중할 수 있었습니다.

Gary Illyes와 Cherry Prommawin이 진행한 메인 세션은 실제 Google 엔지니어 수준의 기술적 깊이를 보여주었고, 참석자들의 질문 수준도 상당히 높았습니다. 저는 Day1 이해도가 70% 수준이었다면 Day2 이해도는 55% 수준이었던 것 같습니다. (저희 광고주 분중 정말 SEO, 개발 등 기술적인 이해도가 높으신 분이 계신데 오시면 90%이상 이해하실 것 같습니다. SEO 이해도가 있으신 개발자분들은 오시면 영어를 못하셔도 50% 이상은 이해하실 것 같은 느낌입니다. 대부분 개발적인 요소의 내용이기 때문에.)

본론으로 돌아와 Day1에 이어 Day2도 Gary Illyes 중심으로 진행되는 느낌이 강했습니다. 다른 Google 직원분들과 커뮤니티 스피커들도 훌륭했지만, 참석자들의 시선과 질문이 모두 Gary에게 집중되었고, Gary의 한 마디 한 마디에 현장 분위기가 좌우되는 것이 인상깊었습니다.

중간 중간 “Tower of Crawling and Indexing” 게임으로 분위기 풀기 

어제 언급했던 SEO 게임에서 오늘 최고 점수가 2,339점까지 나왔다고 발표했습니다. QR코드로 바로 접속해 플레이 할 수 있는 게임이었고, 저는 어제와 같이 메모하느라 여유가 없어서 못했습니다. Gary님이 농담삼아 “HTML을 수정해서 점수를 조작했는지” 의심하는 농담도 했는데 분위기가 꽤나 좋았었습니다.

Gary가 게임을 시연하면서 스팸을 “Garbage”로 표현하고 버리는 것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어제도 “Black Hat SEO is trash”라고 표현했는데, 오늘도 Garbage라고 표현하는게, Gary님이 스팸을 정말 싫어한다는 느낌이 점점 강해졌습니다. (구글 수퍼바이저로부터 스팸 문제 빨리 해결하라고 압박을 받으셨을지도…)

Day 2 시간별 주제 및 핵심 내용 정리

10:25~10:40 – Gary와 Cherry의 Indexing(Processing) 뜯어보기

Gary님과 Cherry Prommawin님이 Indexing에 관해 자세히 뜯어보면서 설명해주는 세션이 진행되었습니다. 개론적으로 보면 “색인”이 생성되기 전에 Indexing 과정에서 (HTML Parsing, Rendering, Deduplication, Feature Extraction, Signal Extraction, Index Selection)이 진행된다고 합니다.

핵심 포인트

  • “robots 메타태그를 보려면 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robots.txt에서 페이지를 차단하면 noindex를 볼 수 없다.”
  • “robots 메타태그는 반드시 head 섹션에 있어야 한다. body에 있으면 작동하지 않는다.”

뭔가 딥하면서도 기본적인 내용인 것 같았습니다. 요즘은 웹 제작 솔루션들이 잘 나와서 이런 기본적인 사항들은 신경쓰지 않아도 잘 지켜지는 것 같습니다. 하드코딩으로 웹앱을 개발하시는 분들은 꼭 알고 계셔야 할 것 같습니다.

10:40~11:10 – Lightning Session C: Rendering and JavaScript

Yisan Lee(Digital Marketing Agency Founder)께서 진행하신 프로젝트(대만 SEO) 예시로 진행하고, Wasin Mekkit (Analytics Specialist)님께서 발표하셨습니다.

11:10~11:45 – What is Google Friendly JavaScript

Swit Tei (APAC News Partner Engineering Lead at Google)님 발표 요약으로, Google Processes JavaScript에서 Crawling, Rendering, Indexing을 강조하시며 일반적인 JavaScript Problems를 안내해주셨습니다.

주요 내용

  • Make Sure your website is server-side
  • Make sure Google can see your website
  • Learn JavaScript and know how to challenge your developer (번역하면 자바스크립트를 배우고 개발자에게 도전하는 방법인데, 아마 비개발자 SEO 마케터분들께 자바스크립트를 배우고 개발자에게 물어보라는 의미로 사용하신 것 같습니다.)

Swit님 말씀내용은 Gary님 내용과 약간 상반되는 내용이 있네요.

1998년 vs 2025년의 변화 “Google이 시작된 1998년에는 인터넷이 대부분 plain HTML이었다. 하지만 오늘날은 JavaScript가 필수가 되었다. Gary의 웹사이트도 JavaScript로 가득하다.” (Even Gary website has tons of JavaScript running라고 하셨는데, 두분 의견이 상반되어 언급하신 것 같습니다. 현장에서 어제 오늘 약간 연사분들간의 기싸움? 비슷한 느낌도 여러번 받았습니다. 어쨋든 이 부분에서 제 개인적인 생각은 JavaScript가 과거부터 현재까지 정말 많이 사용되지만, 구글이라는 기업 입장에서는 JavaScript 기반 웹페이지들이 Google이라는 기업의 리소스를 많이 써서 거시적으로 볼 때는 안좋아서 Gary님이 스트레스 많이 받아 하시는 것 같습니다.)

10,000픽셀 규칙 “Google bot은 스크롤하지 않지만, 약 10,000픽셀 높이까지는 뷰포트에 캡처한다.”

무한스크롤 사이트를 몇번 봤는데요, 이 내용을 참고해주시면 10,000픽셀 기준으로 페이지를 나눠 페이지네이션을 추가해주시는 것도 Index 생성 전략 중 하나가 될 것 같습니다.

12:45~14:58 – 구조화 데이터 및 미디어 최적화 세션

구조화 데이터 세션 William Prabowo (Strategic Partnerships, Search & Gemini)가 구조화 데이터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핵심 메시지는 “정석적으로 해라”였습니다. 제 가치관과 일치해 공감 되었습니다.

이미지 SEO 세션
이미지 SEO 최적화 세션에서는 다음 속성들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이 정도는 우리나라 마케터 분들은 대부분 알고 계셔서 다들 최적화 해주실 것 같습니다. 다만 Deep Dive라는 컨퍼런스 제목에 맞게 하나하나 하드코딩으로 예시를 들어주시면서 잘 설명해주셨습니다. 

  • src 속성
  • alt 속성
  • title 속성

요즘은 웹제작 솔루션들에 이미지 SEO 최적화를 입력하는 란이 대부분 있습니다. 다만 웹 소유자(일반적으로 광고주)가 SEO에 대해 모르시는 경우가 많아 이미지 SEO가 안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광고주께서 이미지 SEO에 대해 인지하신다면, 웹 제작 솔루션(워드프레스 등)으로 구현시 이미지 SEO는 꽤나 쉽게 내부적으로 최적화 가능하십니다. (웹 제작을 맡기시는 분이 SEO 관련 지식이 없으실 경우 개인적인 경험상 99% 확률로 모든 테크니컬 SEO 최적화가 안되어 있습니다. 기본중의 기본인 서치콘솔도 구현이 안되어 있습니다. 웹제작은 웹제작까지가 업무범위니까 문제는 되지는 않습니다만, 개인적으로 아쉬울 뿐입니다.

국제화 및 현지화 세션 핵심 가이드라인들을 정리하면 언어 사용은 1개 페이지에 1개 언어만 사용해야 하며, Google은 색인 시 pagelang을 사용해 페이지 언어를 판단하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기타 신호로는 cc TLD(최상위 도메인), hreflang statements, Server location 등을 활용한다고 합니다.

15:05~15:45 – Gary의 인덱싱 시그널

오늘 가장 유용한 내용이자, 재밌었던 시간이었습니다. 마케터분들께 도움이 되실 것 같아 글 최상단에 작성했습니다.

Gary의 핵심 메시지 “인덱싱 시그널과 랭킹 시그널은 완전히 다른 개념이다”

Gary라는 분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과 구글, 그리고 SEO

이번 행사는 Gary를 중심으로 진행됐습니다. Gary님은 SEO 경험도 많으시고 Google 검색 알고리즘을 결정하는 위치에 있는 분이신 것 같았습니다. Gary님이 중심이 되다보니, Gary란 분에 대해 생각을 하게 되었는데요. 현재 스팸을 정말 정말 극혐 하시는 것 같았습니다. 이유는 Gary님이 사용하시는 단어, 문장, 바디랭귀지가 완전 그런 생각을 들게 만들었습니다.

예를들어 “하루 400억 개의 스팸 페이지가 발행된다”고 했고언급하며 “Every Day~”를 위트 있게 강조했는데, 약간 이 문제가 짜증나지만 막을 순 없는 일이고, 해결해버리고 싶다는 느낌이 강하게 전해졌습니다. 

또 Gary가 자주 사용하는 표현들은 “Trash” (쓰레기), “Garbage” (쓰레기), “Useless” (쓸모없는)  rediculus Usage(말도 안되는 사용량), Amount of posting is Crazy(?).  라는 문장도 들렸는데 어쩃든 Gary가 사용하는 단어들로 Gary의 생각과 Gary의 직무, 구글의 목표 등을 종합해보면 스팸들로 구글의 리소스가 낭비되는게 너무 너무 싫은 것 같습니다. 물론 어느 회사든 자사의 리소스가 불필요하게 낭비되는건 싫고 개선해야 하는 부분이겠지만 Gary는 정말 싫어하는 것 같고 이 스팸관련 문제를 빨리 해결하고 싶어하는 것 같았습니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Google이 전세계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라 스팸성 하루에 400억개의 스팸 페이지가 발행됨으로 인해 낭비되는 Google의 리소스 및 비용이 상상 할 수 없을 정도로 어마어마 할 것 같긴합니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봐도 스팸성 페이지는 사용자에게도 범지구적으로도 좋지 않을 것 같습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분은 부디 스팸성 콘텐츠를 발행하거나 Black Hat SEO를 하시는 일이 없으시길 바랍니다.

Google Trends 팀이 진행한 세션은 참석자 참여형 퀴즈로 상당히 재미있는 분위기에서 진행되었습니다. 구글 트렌드의 핵심 기능을 재미있게 잘 전달한 것 같습니다.

핵심 수치들 연간 구글 검색은 5조 회, 일일 검색은 140억 회가 발생한다고합니다. 구글 트렌드 데이터 특성은 익명화된 Google & YouTube 검색 샘플을 제공한다는 점입니다. 우리나라는 네이버 실시간 검색어 없어진 후 여러 실시간 솔루션들이 생겼지만, 가장 신뢰로운건 구글 트렌드의 실시간 인기 기능인 것 같습니다.

파인애플 검색량 사례 파인애플의 검색볼륨이 지난 5년간 연말마다 급격히 증가하는 그래프를 보여줬습니다. 발표자분이 유럽쪽에서 연말에 파인애플 관련 요리를 해먹는 것 같다고 말씀주셨는데, 들으면서 파인애플 관련 생산자나, 유통업체, 브랜드가 구글 트렌드를 활용해 해당 시장을 찾아 전략적으로 접근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예시가 파인애플이지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시는 분들은 구글 트렌드를 통해 글로벌로 전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는 구글 트렌드보다 Google Ads 키워드 플래너를 쓰는 편입니다.)

16:40~17:25 – 커뮤니티 스피커들의 실전 경험담

Isan Lee: “SEO는 다이어트와 같다” 대만에서 활동하는 Malaysian SEO 전문가 Isan Lee의 의견: “SEO는 다이어트와 같다. 콘텐츠 SEO는 식단, 기술 SEO는 운동이다. 둘 중 하나만 해서는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다.” 

많이 공감 됐습니다. Day2 까지 테크니컬 SEO측면에서 Deep Dive를 했지만, 현재 내 웹사이트에 이 모든 걸 적용한다고 해서 내가 원하는 키워드에 상위 노출되고 서치콘솔에서 SEO 실적이 향상될거라는 보장은 없습니다. (이 내용들과 구글 검색센터의 내용을 종합하면 구글 SEO 최적화가 된게 맞긴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SEO 최적화=구글 상위 노출, 서치콘솔 실적향상 이라고 무의식적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구글 SEO 대행사를 통해 SEO 대행업무 계약시 KPI를 명확하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누구나 특정 키워드 1위를 원하시지만, 정말 어려운 과정입니다. )

실패 사례 분석 경쟁사보다 10-30% 저렴한 가격임에도 불구하고 10,000단어짜리 블로그 포스트를 작성했지만 검색 결과 첫 페이지에 노출되지 않은 이커머스 사이트의 원인들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 엉망인 카테고리 구조
  • 오류투성이인 내부 링크
  • 커피를 내릴 시간이 있을 정도로 느린 페이지 속도

Loki(중국 SEO 전문가)

Loki의 핵심 조언: “Server-side rendering이 있어도 Google이 웹사이트를 볼 수 있다고 보장되지 않는다. 반드시 테스트해야 한다.”

17:25~17:30 – Day 2 마무리 및 Q&A

하루를 마무리하며 진행된 Q&A 시간에서도 Gary의 실무적 조언들이 쏟아졌습니다. 전반적으로 제가 느끼기에 Gary라는 분은 SEO 지식 크롤링을 엄청 한 것 같습니다. Brain 속에 SEO 관련 지식 색인도 정말 엄청나게 많아은 것 같습니다. (실제 구글 검색 시스템을 알고 있고, 구성하는 위치에 있는 분이기 때문) Gary는 어떤 질문을 귀로 입력 받으면, Brain에 색인 되어있는 비슷한 케이스와 경험을 뇌에서 입으로 Searving 하는게(?) 바디랭귀지에서 느껴질 정도였습니다. 제가 지금 컨퍼런스에 동기화 되서 표현도 이런 식으로 떠오르네요. 이제 다시 Q&A 내용을 정리하고 마무리하겠습니다.

Gary의 실무 조언들 도메인 구조 관련해서는 “SEO를 잘하고 있을 때는 도메인 구조를 변경하지 마라”, “SEO가 잘 안 될 때는 URL 구조 변경이 도움될 수 있다”. 

기술적 권장사항으로는 “Don’t Use JavaScript” (반복 강조), “SSL의 중요성” (HTTPS 다시 한번 강조)을 언급했습니다.

Gary의 AI 관련 핵심 발언 “우리 시스템은 더욱 학습하고 있다. 과거에는 Dictionary로 학습했지만, 단어 구별을 위해서였다. 요즘은 AI 덕분에 이런 것들이 훨씬 쉬워졌다.” (시스템이 정확히 어떤걸 의미하는지 확실하진 않지만, 구글 크롤링, 색인, 노출 시스템 인 것같습니다.) 

Google Trends 관련 Q&A 질문: “Pineapple 전세계로 검색했을때, 모든 언어가 포함되는건지?” Hadas Jacobi 답변: “맞다. 모든 언어에서 Pineapple 카테고리가 포함되는 것이다.”

서문경 대표 메모 및 느낀점

AI 기술이 너무 빨리 발전해서 얼른 따라가지 못하면 도태된다는 생각이 있었는데, 전세계 SEO 전문가들도 저와 비슷한 상황이라는 생각에 약간의 동질감? 안도감을 얻었습니다. QnA 세션은 제가 영어실력이 부족해서 질문자 분들의 질문을 다소 알아듣기 조금 힘든 부분이 있었습니다. Gary가 이번 컨퍼런스에서 SEO 관련 식견이 가장 깊은 것으로 생각되는데, 사용하는 단어중 Trash, Garbage, Useless 등을 사용하는거 보면 스팸성 웹페이지, 콘텐츠를 아주아주 경멸하는 것처럼 느껴졌습니다. 진심.

아이엔마케팅이 도출한 2025 Google SEO 전략

Gary의 인덱싱 시그널 기반 프레임워크

Gary Illyes의 O/X 리스트를 바탕으로 한 전략을 3단계로 정리했습니다. 

1단계: 인덱싱 필수 요소 확보

  • HTTPS 보안 사이트 구축
  • 구조화된 데이터 구현
  • H1 태그에 타겟 키워드 포함

2단계: JavaScript SEO 최적화

  • 10,000픽셀 규칙 적용
  • Fragment URL 제거
  • Soft 404 에러 해결
  • 렌더링 시간 최적화 (Pagespeed Insight)

3단계: 스팸 정책 철저 준수

  • Gary가 “Trash”, “Garbage”라고 부르는 저품질 콘텐츠 완전 제거참고)
  • Spam Policies Violations 절대 위반 금지 (=구글 검색 센터 스팸 정책

커뮤니티 전문가 조언 정리

현장에서 들은 전문가들의 조언을 토대로한 실전 전략

  • 기술 SEO와 콘텐츠 SEO의 균형 유지
  • 사이트 진단 → 온페이지 SEO → 콘텐츠 순서로 진행
  • 번들 크기 최소화
  • API 호출 효율화
  • 필수 테스트 프로세스 구축

지금 당장 적용 가능한 액션 플랜

우선순위 1: Gary의 인덱싱 시그널 기반 최적화

반드시 확보해야 할 O 요소들

  • HTTPS 보안 사이트 구축
  • Core Web Vitals 개선
  • 구조화 데이터 구현
  • H1 태그에 타겟 키워드 포함
  • 콘텐츠 최신성 유지 시스템 구축
  • Hreflang 태그 정확한 설정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X 요소들

  • DA 지수(도메인 연령)에 대한 과도한 걱정 중단
  • XML 사이트맵 완벽성에 대한 강박 줄이기 (오늘 내용중 상당히 도움이 됩니다.)
  • 가독성 점수 도구에 의존하지 않기

우선순위 2: JavaScript SEO 점검

현재 상태 진단

  • 소스 보기에서 주요 콘텐츠 확인 가능한가?
  • Search Console URL 검사에서 렌더링된 HTML 정상인가?
  • Fragment URL(#) 사용하고 있지 않은가?
  • Soft 404 에러 발생하고 있지 않은가?

즉시 수정 사항

  • robots.txt에서 JavaScript/CSS 파일 접근 허용
  • CDN 설정에서 크롤러 접근 허용
  • History API 사용하여 Fragment URL 제거
  • 10,000픽셀 내에 중요 콘텐츠 배치

Day 3 기대되는 내용들

Day 3 (7월 25일): “Serving – Ranking and Performance”

마지막 날은 랭킹과 성과에 집중합니다. 특히 기대되는 부분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랭킹 알고리즘 심화 분석

  • 2025년 업데이트된 랭킹 요인들
  • AI Overview 노출 최적화 전략
  • E-E-A-T 신호 강화 방법

성과 측정 및 최적화

  • Google Trends 고급 활용법 (APAC 특화)
  • ROI 극대화를 위한 데이터 분석
  • Search Console 고급 기능 마스터

개인적 기대 포인트

Gary님이 랭킹에 대해 어떤 인사이트를 공유 주실지 가장 기대됩니다. 오늘까지의 상황을 보면 Gary의 한 마디가 Google SEO 업계 뿐만 아니라 정말 많은 비즈니스의 성패를 좌우 할 수 있을 만큼 강력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을 것 같습니다.

아이엔마케팅의 마케팅 서비스 개선

아이엔마케팅_가로_로고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한 차별화된 서비스

오늘 현장에서 얻은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아이엔마케팅의 SEO, Ads, AI 올인원 마케팅 대행, 광고주센터 등 서비스를 개선하겠습니다.

Gary의 인덱싱 시그널 기반 3단계 전략

1단계: 기술 진단 (Technical Foundation)

  • Gary의 O/X 리스트 기반 인덱싱 최적화
  • 10,000픽셀 규칙 적용 페이지 구조 설계

2단계: 콘텐츠 최적화 (Content Excellence)

  • AI 콘텐츠 제작 서비스 + 전문가 검토 시스템
  • Gary가 강조한 스팸 정책 철저 준수
  • 인덱싱과 랭킹 시그널 명확한 구분 적용

3단계: 성과 극대화 (Performance Optimization)

  • 구글 애즈와 SEO 통합 최적화
  • Gary의 실무 기준 적용한 도메인 구조 관리
  • 미래 트렌드 대응

AI 올인원 마케팅 (Google Ads + SEO + Google Marketing Platform 통합 마케팅)

구글 공식 파트너사로서 축적한 Google Ads 전문성과 이번 현장에서 얻은 SEO 인사이트를 결합하여, 올인원 디지털 마케팅을 제공


현재 시간 한국기준 새벽 4시입니다. Day1보다 1시간 빨리 마무리가 도었네요, Day3 세션까지 참석한 후 완전한 3부작 시리즈로 2025년 Google SEO 최신 업데이트를 완성하겠습니다.

긴 글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현장에서 얻을 수 있는 인사이트들이 우리나라 마케터분들께 실질적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내일 마지막 날도 열심히 참석하여 신뢰로운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서문경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위로 스크롤